[신나는 공부]2013학년도 대입 본격 스타트! 수시·정시 지원전략, 반드시 알아야 할 3가지
■ 진학사의 입시 포커스
서울시교육청 주관으로 14일 치러지는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이후부터 본격적인 대학입시 ‘레이스’가 시작된다. ‘열공’(열심히 공부)도 물론 중요하지만 우선 달라진 입시정책을 고려한 대입전략을 세우는 과정이 필요하다. 특히 올해는 수시모집 지원횟수 제한, 수시모집 추가합격자 정시모집 지원 불가 등 지난해와 비교해 크게 달라진 점에 주목한다. 또 2014학년도부터 본격 적용되는 2009 개정 교육과정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유형과 올해 지원전략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① 수시 지원횟수 제한… 허수지원자 대폭 감소할 것

동아일보DB

이러한 변화에 따라 올해 수시모집 경쟁률은 예년에 비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수능 이후 논술고사를 치르는 수시2차 논술 중심 전형은 올해 경쟁률이 크게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예년까지는 수험생들이 수능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 이 전형에 지원했지만, 올해는 이러한 ‘허수지원자’가 대폭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
또한 올해 수시모집에서는 무조건 ‘하향지원’하는 수험생이 줄어들어 중하위권 대학의 합격기준점수가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들 대학을 목표로 하는 중하위권 수험생의 경우 추가합격까지 고려해 적극적으로 지원전략을 세워봄직하다.
② 수시 추가합격자도 정시 지원 불가… 정시 경쟁률 높아질 수도
올해부터는 수시 추가합격자도 정시에 지원이 불가능하다. 지난해에는 수시 최초합격자만 정시에 무조건 지원이 불가능했으며, 수시 추가합격자는 수험생의 선택에 따라 등록을 포기하고 정시에 지원할 수 있었다.
이런 변화에 따라 올해는 무분별한
수시지원을 삼가야 한다. 모의고사 성적을 기준으로 정시에 지원 가능한 대학을 파악한 뒤, 이를 토대로 수시지원 대학을 정한다. 특히 올해는
최상위권 수험생들의 수시 하향지원이 크게 줄어드는 데다 수시 미등록 이월인원이 거의 없어져 정시 경쟁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반드시
고려한다.
③ 2014학년도 수능 大개편… 재수기피현상 극심할 것
2013학년도 정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요소는 무엇일까? 바로 ‘2014학년도 수능 개편’이다. 이는 기존 수능에서 문제유형이나 출제문항 수가 달라지는 단순한 변화가 아닌, 기존 난도와 비슷한 ‘A’형과 고난도 ‘B’형으로 나뉘어 수준별 시험이 치러지는 ‘탈바꿈’에 가까운 변화. 이로 인해 올해 정시에서는 수험생들의 재수 기피 현상이 극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예년까지 수험생들은 정시에서 주어지는 세 번의 기회를 활용해 △상향(자신의 점수보다 매우 높은 대학) △적정(자신의 점수보다 조금 높은 대학) △안정(자신의 점수와 꼭 맞거나 이보다 조금 낮은 대학)으로 한 번씩 지원하는 경향이 도드라졌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세 번 모두 안정지원을 하거나, 한 번만 적정지원하고 나머지 두 번은 안정지원하는 수험생이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수험생들의 정시 지원전략이 이처럼 달라질 경우 상위권대학 및 학과의 합격기준점수는 낮아지는 반면 중하위권 대학 및 학과의 합격기준점수는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올해 정시 지원을 할 때 눈에 보이는 경쟁률뿐 아니라 이 점을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
하지만 당장 올해는 수능 문제의 유형과 난이도는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고득점을 받기 위해서는 당장 공부스타일을 바꾸기보다는 지난해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문제를 정확히 분석하고 풀어보는 게 좋다.
③ 2014학년도 수능 大개편… 재수기피현상 극심할 것
2013학년도 정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요소는 무엇일까? 바로 ‘2014학년도 수능 개편’이다. 이는 기존 수능에서 문제유형이나 출제문항 수가 달라지는 단순한 변화가 아닌, 기존 난도와 비슷한 ‘A’형과 고난도 ‘B’형으로 나뉘어 수준별 시험이 치러지는 ‘탈바꿈’에 가까운 변화. 이로 인해 올해 정시에서는 수험생들의 재수 기피 현상이 극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예년까지 수험생들은 정시에서 주어지는 세 번의 기회를 활용해 △상향(자신의 점수보다 매우 높은 대학) △적정(자신의 점수보다 조금 높은 대학) △안정(자신의 점수와 꼭 맞거나 이보다 조금 낮은 대학)으로 한 번씩 지원하는 경향이 도드라졌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세 번 모두 안정지원을 하거나, 한 번만 적정지원하고 나머지 두 번은 안정지원하는 수험생이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희동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
수험생들의 정시 지원전략이 이처럼 달라질 경우 상위권대학 및 학과의 합격기준점수는 낮아지는 반면 중하위권 대학 및 학과의 합격기준점수는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올해 정시 지원을 할 때 눈에 보이는 경쟁률뿐 아니라 이 점을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
하지만 당장 올해는 수능 문제의 유형과 난이도는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고득점을 받기 위해서는 당장 공부스타일을 바꾸기보다는 지난해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문제를 정확히 분석하고 풀어보는 게 좋다.
다른 교육정보 보기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191 | 서강대·숙명여대·연세대·중앙대·한국외대가 말하는 ‘학생부종합전형’ | 2017-01-06 | 19781 |
190 | 경희대·고려대·성균관대·한양대가 말하는 ‘학생부종합전형’ | 2017-01-05 | 3712 |
189 | 2017년 대학 입시 5대 관전 포인트 | 2017-01-03 | 3454 |
188 | 수시 합격? “수능 국영수부터 다져라” | 2017-01-03 | 3294 |
187 | ‘대입을 움직이는 손’ 입학사정관은 누구? 교육계-석사 출신 30대 여성이 주류 | 2017-01-03 | 3542 |
186 | 고교 학점제·교사 자율권 확대…교육부 중장기 정책 발표 | 2016-12-31 | 4222 |
185 | 2019 초등 5~6 교과서 한자 표기... 교육부, "한자 혼용과는 달라" | 2016-12-31 | 3082 |
184 | 교육부-기재부, 새해부터 달라지는 교육정책 밝혀 | 2016-12-31 | 3638 |
183 | 내년부터 바뀌는 학생부 기록 방법은? | 2016-12-31 | 3369 |
182 | '미리 보는' 2017년 교육계 핫이슈 | 2016-12-29 | 3783 |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92 | 서강대·숙명여대·연세대·중앙대·한국외대가 말하는 ‘학생부종합전형’ | 2017-01-06 | 19781 |
91 | 경희대·고려대·성균관대·한양대가 말하는 ‘학생부종합전형’ | 2017-01-05 | 3712 |
90 | 수시 합격? “수능 국영수부터 다져라” | 2017-01-03 | 3294 |
89 | ‘대입을 움직이는 손’ 입학사정관은 누구? 교육계-석사 출신 30대 여성이 주류 | 2017-01-03 | 3542 |
88 | 내년부터 바뀌는 학생부 기록 방법은? | 2016-12-31 | 3369 |
87 | ‘세특·자동봉진’…나만 모르는 대입 열쇳말 풀어봐 | 2016-12-28 | 4640 |
86 | [신나는 공부]2013학년도 대입 본격 스타트! 수시·정시 지원전략, 반드시 알아야 할 3가지 | 2012-04-03 | 8952 |
85 | 교과중심 출제 강화… 중간 난이도로 학습 필요 | 2012-04-03 | 7598 |
84 | 책읽기 통한 학습경험… 숨어있던 재능이 보인다 | 2012-03-06 | 10127 |
83 | 입학사정관제 안착…대학입시 질적 변화 | 2012-02-28 | 9100 |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80 | [논술] 2013학년도 대입논술 준비 어떻게 | 2012-04-03 | 25256 |
79 | [EDU&LIFE 전문가 칼럼] 듣기 강화된 수능영어 이렇게 대비하라 | 2012-04-03 | 6997 |
78 | 주5일 수업제 시행에 ‘자기주도학습’ 중요성 커져 | 2012-02-24 | 6567 |
77 | 성적 올리는 반복학습… 횟수보다 내용이 중요하다 | 2012-02-22 | 7998 |
76 | 봄방학, 계획적으로 준비해야 | 2012-02-20 | 6796 |
75 | [아깝다, 영어 헛고생](6)자기의 수준보다 쉬운 영어책 읽는 게 효과 | 2012-02-16 | 8226 |
74 | 해법영어 올림피아드 6등급 대상 이예진 학생 “자기주도학습 어렵지 않아요” | 2012-02-16 | 9195 |
73 | 봄방학 맞이 자기주도학습 캠프로 입학사정관제 대비까지 | 2012-02-14 | 6382 |
72 | [신문 보고 생각 키우고] 사회변화 발맞춘 자기주도적 적응력 어떻게 키울까? | 2012-02-09 | 8383 |
71 | "자기주도학습의 성패는 부모와의 관계" | 2012-02-09 | 6686 |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19 | 2017년 대학 입시 5대 관전 포인트 | 2017-01-03 | 3454 |
18 | 고교 학점제·교사 자율권 확대…교육부 중장기 정책 발표 | 2016-12-31 | 4222 |
17 | 2019 초등 5~6 교과서 한자 표기... 교육부, "한자 혼용과는 달라" | 2016-12-31 | 3082 |
16 | 교육부-기재부, 새해부터 달라지는 교육정책 밝혀 | 2016-12-31 | 3638 |
15 | '미리 보는' 2017년 교육계 핫이슈 | 2016-12-29 | 3783 |
14 | [EDU&LIFE 전문가 칼럼] 2013 대입, 수능 난이도 예측은 금물! | 2012-04-03 | 7510 |
13 | 올해 수능, 정시는 물론 수시서도 영향력 커져 | 2012-04-03 | 7789 |
12 | 주요대 `수능 커트라인 통과` 2등급은 돼야 | 2012-04-03 | 7397 |
11 | 2014 수능 예비시험 어떻게 | 2012-04-03 | 6918 |
10 | 책 속에 대학 가는 길 있다 | 2012-01-02 | 6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