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일기 글감은 하나로
신문의 사진·그림·광고 활용해 퍼즐만들기 활동, 관찰력 길러. ‘생활일기’는 그날 겪은 일 가운데서 글감을 선택해 생각과 느낌이 드러나도록 쓰는 글이다. 모든 일기가 그날 겪은 일 가운데서 글감을 정해서 쓰긴 하지만, 일기의 글감은 다양하기 때문에 편의상 이렇게 구분해 본다. ‘일기’라고 하면 우리는 보통 ‘생활일기’를 떠올린다. 제일 먼저 배우게 되는 일기가 바로 ‘생활일기’이기 때문이다.
학교 입학하기 전이나 초등 1학년 1학기 때까지는 보통 그림일기를 쓴다. 그림일기는 그림을 바탕으로, 한 일과 느낌을 쓰는 비교적 짧은 글이다. 이때 그림을 그리는 것은 글감을 하나로 제한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일기의 글감은 다양해지고 내용은 풍부해져야 한다.신문으로 같이 활동하고 일기를 써보면 일기를 잘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찰력도 길러진다. 신문을 활용한 활동 중에 ‘퍼즐 만들기’라는 게 있다. 신문의 사진·그림·광고 중 마음에 드는 걸 골라 퍼즐을 만드는 활동이다. 무엇으로 퍼즐을 만들지는 각자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아이들이 생각을 무척 많이 한다. 친구들의 선택을 눈여겨보고 선택한 것을 다시 바꾸기도 한다.
이때 관찰력이 생긴다. 어떤 선택을 해야 후회하지 않을지 고민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퍼즐을 만들면서 혹은 다 만들고 나서 후회하는 경우도 있다. 모양이 없고 바탕색만 많은 경우 퍼즐 완성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후회를 한 아이는 다른 활동을 할 때 후회를 하지 않기 위해 더 많이 생각하고 관찰한다. 연습이 되면 주변 사물이나 사람에게도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된다.
그림이나 사진을 선택했다면 이젠 그것을 오려 뒷면에 퍼즐 그림을 그린다. 퍼즐 그림은 대체로 단순하게 그리도록 지도하지만 학년에 따라 조각 수는 달라야 한다. 다 그렸다면 그림대로 조각들을 오린다. 그림 그리는 과정에서 선생님은 아이들과 얘기를 나눠야 한다. 아이들이 자신의 행위를 스스로 깨닫고 느껴야 하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보통 생각·느낌을 가지고 있더라도 자신감이 없어 표현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때 아이들의 집중을 방해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다 오렸다면 친구들과 ‘퍼즐 빨리 맞추기’ 대회를 하는 게 좋다. 내가 빨랐을 때의 느낌, 친구가 빨랐을 때의 느낌이 다를 테니까 그 느낌들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느낌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그 아이에게 길러줘야 할 장점과, 대화가 필요한 문제점을 알 수 있다. 칭찬과 대화는 글쓰기뿐만 아니라 행복한 삶을 사는 데 꼭 필요한 요소이다. 칭찬·격려·대화를 통해 아이들은 올바르고 합리적인 가치관을 가지게 된다. 글은 생각의 표현이므로 올바르고 합리적인 생각은 글에 그대로 드러나게 된다.
구체적인 경험 뒤에 쓰는 아이들의 느낌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기발할 때가 많다. 어떤 아이는 퍼즐을 오리는 과정에서 사람의 얼굴이 반으로 잘라져서 마음이 아프다고 했다. 그러나 퍼즐을 완성했을 때 다시 온전한 얼굴이 되어 무척 기쁘다고 썼다. 특히 초등 저학년일수록 재미있고 창의적인 표현들이 많다. 체험을 바탕으로 하는 글쓰기는 아이들의 아이다운 면이 드러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중등 신문활용교육 NIE 글쓰기
③ 신문활용교육과 일기쓰기
④ 신문활용교육과 생활일기
⑤ 신문활용교육과 생활문
출처: hani.co.kr
다른 교육정보 보기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141 | [자기주도학습 전형은 이렇게!] 목표 담긴 계획서로 '꿈 조각' 맞춰가세요 | 2012-01-06 | 7783 |
140 | [방과후 교육] 서울 염경초등학교의 자기주도학습 수업은 | 2012-01-06 | 8121 |
139 | 초등학생 위한 ‘독서이력철 관리법’ 대공개 | 2012-01-05 | 7127 |
138 | [자기주도학습 전형은 이렇게!] 꿈·열정 담은 이야기로 '자기소개서' 채워라 | 2012-01-05 | 6224 |
137 | 2012년, 달라지는 교육정책 | 2012-01-05 | 6865 |
136 | 겨울방학 자기주도학습 영어 공부법 공개 | 2012-01-05 | 6041 |
135 | 노트 필기로 자기주도학습 습관 들이자 | 2012-01-04 | 6291 |
134 | 자기주도 학습 | 2012-01-04 | 6168 |
133 | 특목·자율고 자기주도학습 전형 2년 돌아보니 | 2012-01-04 | 6116 |
132 | 책 속에 대학 가는 길 있다 | 2012-01-02 | 8928 |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42 | 지원학과에 맞게 나만의 스토리 만들라 | 2011-10-14 | 5443 |
41 | 대학, 소질·적성 고려해 선택을 | 2011-10-13 | 5623 |
40 | 생활일기 글감은 하나로 | 2011-10-12 | 6869 |
39 | 신문읽고 토론, 모의면접으로 입학사정관 전형 준비 | 2011-10-12 | 6006 |
38 | 대전·충남외고 입시 한 달 앞… 학습계획서 작성법 | 2011-10-11 | 6017 |
37 | 솔직한 내 생각을 개성있게 기술하라 | 2011-10-10 | 5941 |
36 | 입학사정관 면접, 지원 대학 맞춰 준비해야 | 2011-10-10 | 5510 |
35 | 외고 및 자사고 입시 자기소개서 작성요령 | 2011-10-07 | 7690 |
34 | 2012학년도 수시 자기소개서 작성요령 | 2011-10-07 | 5469 |
33 | 자기주도 학습의 키워드 | 2011-10-06 | 5793 |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30 | 자기주도학습 능력 키우기…겨울방학은 최고의 기회 | 2011-12-22 | 5004 |
29 | 새학년 자기주도학습으로 앞서가기 | 2011-12-22 | 5100 |
28 | [자기주도학습 전형은 이렇게!] 대원국제중 1학년 김동연 | 2011-12-22 | 5536 |
27 | 일상 생활서 스스로 계획 세우고 실천하는 습관 들여야 | 2011-12-19 | 6419 |
26 | 경기북과학고 자기주도학습 전형 개별면접 현장 | 2011-12-05 | 8329 |
25 | 출제자처럼… 리포터처럼… 문제 완벽히 이해하려 노력 | 2011-12-05 | 5568 |
24 | 자기주도학습, 엄마가 배워 가르치니 교육비 지출 줄었어요! | 2011-11-25 | 5772 |
23 | 우등생 되는 예습비결 1 | 2011-11-24 | 5179 |
22 | 공산품 같은 ‘포트폴리오’ 눈길 못 끈다 | 2011-11-11 | 4887 |
21 | 학원 안 가고 혼자 힘으로 성과 내려면? 자기주도학습 멘토는 엄마·아빠다 | 2011-11-09 | 4932 |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