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많이 읽으면 자기주도학습 능력 커진다"
구정화 경인교대 교수 조사
"신문읽기·NIE 교육이 자기주도 학습에 긍정적"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신문을 많이 읽거나 신문활용교육(NIE)을 하는 초등학생일수록 자기주도 학습 능력이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구정화 경인교육대학 교수(NIE 한국위원회 위원)는 최근 한국신문협회가 주최한 '2011 대한민국 NIE 대회'에서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 초등학생 53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9일 밝혔다.
구 교수는 7월11~26일 학생들을 대상으로 신문 열독 정도, NIE 경험 여부,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등을 조사했는데, '신문을 매일 읽는 편'이라고 답한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은 5점 만점 중 평균 3.56점으로 '가끔 읽는 편'(3.38점), '거의 읽지 않는 편'(3.05점)이라는 학생보다 높았다고 설명했다.
"신문읽기·NIE 교육이 자기주도 학습에 긍정적"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신문을 많이 읽거나 신문활용교육(NIE)을 하는 초등학생일수록 자기주도 학습 능력이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구정화 경인교육대학 교수(NIE 한국위원회 위원)는 최근 한국신문협회가 주최한 '2011 대한민국 NIE 대회'에서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 초등학생 53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9일 밝혔다.
구 교수는 7월11~26일 학생들을 대상으로 신문 열독 정도, NIE 경험 여부,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등을 조사했는데, '신문을 매일 읽는 편'이라고 답한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은 5점 만점 중 평균 3.56점으로 '가끔 읽는 편'(3.38점), '거의 읽지 않는 편'(3.05점)이라는 학생보다 높았다고 설명했다.
신문을 읽은 기간이 길수록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높은 편이었다. '신문을 안 읽는다'는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이 3.06점이었던데 비해 신문을 읽은 기간이 '3년 미만'이라는 학생의 평균점은 3.31점, '3년 이상'이라고 답한 학생은 3.42점이었다.
가정에서 NIE를 통해 공부한 경험에 대해서는 8.4%가 '매우 자주' 혹은 '자주'라고 답했으며 46.1%는 '때때로', 45.6%는 '거의 없음' 혹은 '전혀 없다'고 응답했는데, NIE 경험이 많을수록 자기주도 학습 능력이 높았다.
가정에서 NIE를 한 적 있는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은 평균 3.47점이었지만 한 적 없는 학생의 평균은 3.04점이었다.
NIE가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학교 NIE 교육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전체의 53.7%가 학교에서 NIE 수업을 받고 있다고 답했는데, 이들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은 평균 3.31점이었다. 반면, 받지 않고 있다고 답한 학생들의 평균 점수는 3.23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구 교수는 "신문을 가까이하고 일정하게 매일 읽는 것은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가정에서 NIE를 통해 공부한 경험에 대해서는 8.4%가 '매우 자주' 혹은 '자주'라고 답했으며 46.1%는 '때때로', 45.6%는 '거의 없음' 혹은 '전혀 없다'고 응답했는데, NIE 경험이 많을수록 자기주도 학습 능력이 높았다.
가정에서 NIE를 한 적 있는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은 평균 3.47점이었지만 한 적 없는 학생의 평균은 3.04점이었다.
NIE가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학교 NIE 교육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전체의 53.7%가 학교에서 NIE 수업을 받고 있다고 답했는데, 이들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은 평균 3.31점이었다. 반면, 받지 않고 있다고 답한 학생들의 평균 점수는 3.23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구 교수는 "신문을 가까이하고 일정하게 매일 읽는 것은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특히 부모가 자녀와 더불어 신문을 규칙적으로 읽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출처: 연합뉴스
다른 교육뉴스 보기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153 | 동국대, 입학사정관제 세미나… | 2012-02-08 | 11350 |
152 | 올해 중1, 내신 상대평가서 절대평가로 바뀌는데 | 2012-01-20 | 7706 |
151 | 광명시, 자기주도학습 사업 사교육비 절감효과 만점 | 2012-01-20 | 7582 |
150 | 예비초·중, 겨울방학만 잘 보내면 1학년 공부 어렵지 않아요! | 2012-01-19 | 7900 |
149 | '보여주기' 독서는 이제 그만! '올바른 독서 습관' 잡기 | 2012-01-17 | 7710 |
148 | 자기주도학습 내세운 학습관, 공부방 늘어나.. | 2012-01-17 | 7839 |
147 | 미래자서전 쓰니 꿈 생겨 | 2012-01-16 | 8008 |
146 | [입학사정관의 리얼 토크] 꿈·가능성으로 무장한 자신 보여주세요 | 2012-01-12 | 7024 |
145 | 올해 중1, 내신 상대평가서 절대평가로 바뀌는데 | 2012-01-11 | 7098 |
144 | 독서 체험 활용해 자기소개서·면접서 좋은 평가 받은 학생들 | 2012-01-11 | 7240 |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77 | 2014 수능 부담 던다? 변별력은 뭘까? | 2011-12-27 | 5825 |
76 | “내년엔 재수도 불가능”…패닉에 빠진 고2, 왜? | 2011-12-26 | 5944 |
75 | 특목·자율고 자기주도학습 전형 2년 돌아보니 | 2011-12-26 | 5590 |
74 | 2014학년도 수능, 국·영·수 수준별 시험 | 2011-12-23 | 5702 |
73 | [입학사정관의 리얼 토크] 본인이 그 분야의 마니아임을 증명하라! | 2011-12-22 | 5501 |
72 | 대입 정시 동일 군 중복지원 NO… 마감 시간 꼭 체크를 | 2011-12-21 | 8067 |
71 | 서울대 수시 특기자전형 합격 비결 | 2011-12-20 | 6033 |
70 | 입학사정관제 확대에 창의인재 양성하는 대안학교가 ‘뜬다’ | 2011-12-16 | 6027 |
69 | 대장금(대통령 과학장학금), 일반高 출신도 받을 수 있다 | 2011-12-16 | 6626 |
68 | 소를 사랑한 여고생 입학사정관제로 당당히 대학 합격 | 2011-12-15 | 5542 |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29 | 학생 유치보다 '잘 가르치는 경쟁' 하라 | 2011-12-29 | 5949 |
28 | 자기주도학습 능력 키우기…겨울방학은 최고의 기회 | 2011-12-29 | 5406 |
27 | [신가혜의 공부코칭] 겨울방학, 자신의 학습 동기를 명확히 하는 시간을 가져라 | 2011-12-29 | 8317 |
26 | 아무나 못 가는 특목고… 스스로 학습에서 길을 찾다 | 2011-12-27 | 5967 |
25 | 특목·자율고 자기주도학습 전형 2년 돌아보니 | 2011-12-27 | 5461 |
24 | "신문 읽으면 자기주도 학습 능력 커져" | 2011-12-23 | 5262 |
23 | 대입수능 경북지역 인문계 수석…“체계적 자기주도학습 충실” | 2011-12-13 | 5587 |
22 | "신문 많이 읽으면 자기주도학습 능력 커진다" | 2011-12-05 | 5262 |
21 | 2011 초·중·고 학업성취도 평가 | 2011-12-02 | 5496 |
20 | 중학때 1·2등 자매 "학교는 싫어" 홈스쿨링 | 2011-11-25 | 8074 |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7 | 2012학년도 고등학교 원서접수일 | 2011-10-11 | 6704 |
6 | 욕설하는 학생 생활기록부에 기록! | 2011-10-10 | 6252 |
5 | "체험놀이터 경기도" 발간 | 2011-10-07 | 5927 |
4 | 대구과학대 "학과진로체험행사장" 열어! | 2011-10-06 | 6076 |
3 | 고려대 로스쿨 서면면접 폐지 | 2011-10-06 | 6726 |
2 | 달라진 고교 전형방법 | 2011-10-05 | 5758 |
1 | 영어동화 e북 만든 김하늘양 | 2011-09-20 | 7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