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주도학습의 ‘맞춤형 강의 커리큘럼’을 바라보다
[이뉴스투데이 = 이종은 기자] 21세기 대한민국은 교육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지식으로 무장한 화이트컬러들이 이끌던 사회는 1998년 IMF 이후 명분을 잃어가더니, 점차 ‘단순 지식’보다는 ‘지혜’를 무기로 삼는 새로운 교육 세대인 골드컬러 시대로 전환되고 있다.
‘지식을 얻는 것’ 보다는 ‘지식을 얻는 방법’도 중요하다는 것을 인지하면서 하나의 지식을 외우는 것보다 여러 개의 지식을 찾고 활용하는 능력이 더 중요해졌다.
신세대라 불리던 세대가 학부모가 되면서, 이들 역시 이런 세상의 변화에 발맞추어 ‘새로운 교육’이 활성화되기를 원하고 있어 이제는 공교육과 대안교육 할 것 없이 초등학생들에게도 사고력을 키워주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국가에서도 ‘자기주도적 교육’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자기주도학습 전형, 혁신학교, 입학사정관제도 등 여러 방면에서 주도적 학습자 육성을 위한 장치들을 넓혀가려고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폭발적 수요에 맞춘 교육 커리큘럼은 거의 없다. 학부모들도 학교에서도 어떻게 해야 자기주도적 학습자를 육성할 수 있는지 고민하고 있다.
▲ 큰사람연구소는 수요에 맞춘 교육 커리큘럼을 진행하여 자기주도적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 이종은
최근 학부모들은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열의가 상당히 높다.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연구와 외부강의활동을 병행하고 있는 큰사람연구소의 외부특강팀의 경우 초,중,고교의 공교육 학생들을 대상으로 장기, 단기 특강을 하면서 학교에서 필요로 하는 맞춤형 강의를 하고 있으며, 학부모와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매회 2-3시간 정도 8회에서 24회까지 진행되는 자기주도학습 관련 커리큘럼을 구성, 진행하고 있어 초등학교, 중학교의 자녀들을 둔 학부모들의 호응을 끌어내고 있다. 학부모들이 꼭 알아야할 내용들을 전해주기 때문에 호응도 크지만 자기주도적 학습자를 만들기 위한 교육과정이나 교사 수요가 부족한 현실과 교육에 대한 열망이 크기 때문이기도 하다.
자기주도학습에서 다루는 내용은 이론 중심의 강의와 특성화된 한 전문 영역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원하는 부분을 짚어주는 맞춤식 교육으로 진행되고 다양한 커리큘럼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자기주도학습이 무엇인지에 대한 내용부터 학습자의 스타일 짚어보기, 입시전략 바로알기, 학습동기이론, 시간관리하기, 효율적인 학습전략, 뇌과학이론, 지능과 정서, 꿈찾기, 각종 검사테스트 등 수많은 내용들을 다루며, 주어진 시간 내에 핵심을 짚어주고, 학습자가 원하는 경우 실습과 체험, 테스트를 병행하고 있다.
..중략
출처: http://www2.enewstoday.co.kr/sub_read.html?uid=250022§ion=sc5
다른 교육뉴스 보기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163 | [신나는 공부/2013 대입]재수생 급감… 2013년 대입 정시가 기회 될까? | 2012-04-03 | 21366 |
162 | [신나는 공부/2013 대입수시포커스]<1>고려대 ‘OKU 미래인재전형’ 신설, 연세대 ‘창의인재전형’ 확대 | 2012-04-03 | 5402 |
161 | [신나는 공부/2013 대입수시포커스]<2>성균관대 ‘성균인재전형’,한양대 ‘미래인재전형’ | 2012-04-03 | 7432 |
160 | "고3 첫 전국연합평가, 작년 수능보다 다소 어려웠다" | 2012-04-03 | 4534 |
159 | 강남구청 인터넷 수능방송, 무료 해설 강의 | 2012-04-03 | 4568 |
158 | 인문-국·영, 자연-수·영…상위권대 일괄채택 따라 학습부담 경감 취지 무색 | 2012-04-03 | 4637 |
157 | ‘쉬운 수능’은 하위권용?… 주요大 모두 어려운 B형 위주로 | 2012-04-03 | 4675 |
156 | 성적 쑥 올리고 싶다면 동기부여·학습계획부터 | 2012-03-06 | 4891 |
155 | 서울대, 인문·사회·사범대 70% 과별로 뽑는다 | 2012-02-20 | 4877 |
154 | 학부모가 반드시 알아야 할 입학사정관제 전형과 NEAT 설명회 개최 | 2012-02-15 | 6555 |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87 | 올해 중1, 내신 상대평가서 절대평가로 바뀌는데 | 2012-01-20 | 4973 |
86 | [입학사정관의 리얼 토크] 꿈·가능성으로 무장한 자신 보여주세요 | 2012-01-12 | 4474 |
85 | 올해 중1, 내신 상대평가서 절대평가로 바뀌는데 | 2012-01-11 | 4528 |
84 | 게임중독 아들 명문대 보낸 김민경씨 교육법 | 2012-01-09 | 7331 |
83 | [조정주의 세계 속 교육] 핀란드 교육을 제대로 보자 | 2012-01-05 | 4208 |
82 | 2012 미국 대학 입시 살펴보니… 예년보다 명문대 합격생 감소… 갈수록 경쟁 치열 | 2012-01-04 | 4373 |
81 | <6>중앙대 다빈치형인재전형 합격한 김윤희 양 | 2012-01-03 | 4399 |
80 | 서울대 수시 최연소 합격 과학영재, 연대 치대 갔다 | 2012-01-02 | 4084 |
79 | 정시 모집, 철저한 전략으로 승부 | 2011-12-29 | 3590 |
78 | 꼴찌에서 전교 1등으로, 자기주도 학습 실천한 역전의 공신 인천 부흥고 2학년 심재웅 군 | 2011-12-28 | 3610 |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39 | 자기주도학습의 ‘맞춤형 강의 커리큘럼’을 바라보다 | 2012-01-06 | 4586 |
38 | 유아부터 성인까지 … 자기주도학습 열풍 | 2012-01-06 | 4147 |
37 | [자치구 겨울방학 도우미 3제] 자기주도학습 교습부터 진로상담까지 | 2012-01-06 | 4100 |
36 | "수학 자기주도 학습 어떻게 하나" | 2012-01-05 | 3813 |
35 | [단신]송하성 경기대 교수, 자기주도적 학습법 특강 | 2012-01-05 | 4136 |
34 | `자기주도 학습은 이런 것' 지침서 보급 | 2012-01-04 | 5276 |
33 | 체득형 태권도 ‘인성교육’ 탄생… ‘자기주도형’ 학습기법 | 2012-01-03 | 3929 |
32 | 초등학생 독서이력철 관리 어떻게? | 2012-01-03 | 4162 |
31 | 민병희 교육감 신년 인터뷰 | 2012-01-03 | 3560 |
30 | 김용진 전뇌학습]자기주도학습, 이것이 정답이다 | 2012-01-03 | 3401 |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17 | 당신은 자녀에게 '공부' 얘기만 하고 있진 않습니까 | 2011-11-28 | 5780 |
16 | 자연체험 활동 유아 발달에 큰 도움 | 2011-10-27 | 4285 |
15 | 강남구, 안보현장 체험교육 열풍 | 2011-10-27 | 4207 |
14 | 전국 시각장애인 독후감 공모 | 2011-10-20 | 4405 |
13 | 도서관이 달라졌어요 | 2011-10-19 | 4677 |
12 | 2011년 진해구 환경일기쓰기 | 2011-10-19 | 5182 |
11 | e-포트폴리오 대학 전반에 확산 | 2011-10-18 | 3966 |
10 | 대우조선해양 첫 고졸 관리직 100명 공채 | 2011-10-14 | 3975 |
9 | 선덕 고등학교 입학 설명회(오늘) | 2011-10-13 | 5720 |
8 | 전남대학교 e-포트폴리오 시스템 구축 | 2011-10-12 | 4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