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나는 공부/2013 대입]재수생 급감… 2013년 대입 정시가 기회 될까?
[신나는 공부/2013 대입]재수생 급감… 2013년 대입 정시가 기회 될까? | | | 교육뉴스 스크랩 |
![]() |
/ | 2012.03.17 14:45 |
원문 링크 : http://bit.ly/wzf8IK
쉬운 수능… 올해 대입 재수생 최대 30% 감소한 12만 명 추정
《“재수학원마다 수강생 모집에 비상입니다. 대형학원은 그나마 좀 나은 편입니다. 중소형 학원이나 기숙학원 중 일부는 수강생이 지난해의 절반도 채 안 되는 수준이에요.”(A재수학원 관계자)재수생이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재수전문학원들이 구조조정을 계획하는 등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하고 있다. 문제는 이런 현상이 내년에도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 대입 업계에 따르면 올해 재수학원 등록자 수를 토대로 추정한 전체 재수생은 약 12만 명이다. 이는 지난해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응시한 재수생 수보다 30% 이상 줄어든 수치다.》
○ 재수생, 왜 줄었나?


실제로 2012학년도 대입에서 수시모집 미충원 인원을 정시로 이월한 비율은 2011학년도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2011학년도 서울시내 주요 대학의 정시모집 이월 비율은 평균 20% 수준. 대성학원에 따르면 지난해에는 고려대(12%), 한양대(11%), 이화여대(14%), 경희대(11%), 연세대(10%) 등 몇 개 대학만이 10%를 조금 넘었을 뿐 서울대(6%), 서강대(4%), 성균관대(4%) 등은 전년도 이월 비율의 절반 이하로 줄었다. 그만큼 수시모집을 통해 원하는 대학과 학과에 합격한 수험생이 많아졌다는 얘기다.
최상위권 수험생들이 수시에 합격하면서 정시에서는 상대적으로 성적이 우수한 지원자가 적었던 점도 재수생이 감소한 원인 중 하나. 수능 성적이 비교적 낮은 수험생들이 목표 이상의 대학에 상당수 합격하면서 재수의 필요성을 느끼는 학생이 적어진 것이다.
지방 고교의 한 진로진학부장교사는 “지난해 정시에서 일부 서울시내 상위권 대학 인기학과의 합격기준점수가 예년에 비해 크게는 7점 이상 떨어졌다”면서 “반면 비인기학과는 오히려 합격기준점수가 올라간 곳도 있어 수험생들의 안정, 하향지원 경향이 두드러졌음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교육방송(EBS) 교재·강의 70%
연계 방침으로 ‘독학 재수생’이 늘어난 것도 재수학원들을 괴롭히는 요인이다. 수능에서 EBS 연계문항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EBS만
제대로 공부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판단에 독서실이나 집에서 홀로 대입에 재도전하는 재수생도 많아졌다는 분석이다.
고졸자들의 취업지원 정책이 확대되면서 특성화고 상위권 학생들이 대거 취업을 선택한 것도 재수생 감소의 원인이라는 의견도 있다. 한 입시전문가는 “취업난이 심해지면서 무리하게 4년제 대학을 고집하기보다 전문대나 사이버대학 진학을 결정하는 중하위권 수험생이 증가한 것도 재수생 감소의 원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 ‘리모델링에 수억 원 들였는데…’ 기숙학원 큰 타격
재수생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재수학원들이 운영에 큰 차질을 빚고 있다. 당초 재수학원들은 2014학년도부터 대입제도가 바뀜에 따라 올해와 내년에 재수생이 크게 늘 것으로 보고 대비해 왔다. 특히 수도권 및 지방의 기숙학원 중 일부가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재수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해 모집정원을 늘리고 시설을 확충했기 때문이다.
경기지역의 한 기숙학원 관계자는 “어느 기숙학원의 경우 모집정원을 지난해에 비해 2배로 늘리고 수억 원을 들여 강의실과 식당, 기숙사 등을 리모델링했다”면서 “하지만 개강한 지 한 달이 지난 지금도 지난해 모집인원의 절반도 못 채워 운영에 큰 차질을 빚고 있다”고 귀띔했다.
○ 2013 대입, 정시모집 기회 될 수도
재수생
감소현상은 올해 더욱 심해질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2014학년도 수능부터는 쉬운 A형과 어려운 B형으로 나뉘어 ‘수준별 시험’이 치러지는
등 대대적인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재수기피현상이 더욱 심해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만약 2013학년도 대입 수시와 정시도 비슷한 경향이 계속된다면 모의고사 전 영역 평균 2등급 성적의 학생들에게는 정시가 상위권 대학 및 인기학과 합격의 기회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무조건 정시만 노리는 입시전략은 다소 위험하다. 9월 모의고사를 치르기 전까지는 ‘독학 재수생’의 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며, 지난해 수시에서 하향지원해 합격한 학생들이 대거 반수를 선택할 경우 서울시내 상위권 대학 및 인기학과의 정시 경쟁률이 높아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종서 이투스청솔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수시합격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모의고사 점수를 토대로 합격가능성이 높은 대학을 골라 적극 지원하는 게 좋다”면서 “단, 상위권 수험생의 경우 정시도 염두에 두고 여러 경우의 수를 따져가며 입시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승태 기자 stlee@donga.com
고졸자들의 취업지원 정책이 확대되면서 특성화고 상위권 학생들이 대거 취업을 선택한 것도 재수생 감소의 원인이라는 의견도 있다. 한 입시전문가는 “취업난이 심해지면서 무리하게 4년제 대학을 고집하기보다 전문대나 사이버대학 진학을 결정하는 중하위권 수험생이 증가한 것도 재수생 감소의 원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 ‘리모델링에 수억 원 들였는데…’ 기숙학원 큰 타격
재수생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재수학원들이 운영에 큰 차질을 빚고 있다. 당초 재수학원들은 2014학년도부터 대입제도가 바뀜에 따라 올해와 내년에 재수생이 크게 늘 것으로 보고 대비해 왔다. 특히 수도권 및 지방의 기숙학원 중 일부가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재수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해 모집정원을 늘리고 시설을 확충했기 때문이다.
경기지역의 한 기숙학원 관계자는 “어느 기숙학원의 경우 모집정원을 지난해에 비해 2배로 늘리고 수억 원을 들여 강의실과 식당, 기숙사 등을 리모델링했다”면서 “하지만 개강한 지 한 달이 지난 지금도 지난해 모집인원의 절반도 못 채워 운영에 큰 차질을 빚고 있다”고 귀띔했다.
○ 2013 대입, 정시모집 기회 될 수도

만약 2013학년도 대입 수시와 정시도 비슷한 경향이 계속된다면 모의고사 전 영역 평균 2등급 성적의 학생들에게는 정시가 상위권 대학 및 인기학과 합격의 기회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무조건 정시만 노리는 입시전략은 다소 위험하다. 9월 모의고사를 치르기 전까지는 ‘독학 재수생’의 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며, 지난해 수시에서 하향지원해 합격한 학생들이 대거 반수를 선택할 경우 서울시내 상위권 대학 및 인기학과의 정시 경쟁률이 높아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종서 이투스청솔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수시합격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모의고사 점수를 토대로 합격가능성이 높은 대학을 골라 적극 지원하는 게 좋다”면서 “단, 상위권 수험생의 경우 정시도 염두에 두고 여러 경우의 수를 따져가며 입시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승태 기자 stlee@donga.com
다른 교육뉴스 보기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163 | [신나는 공부/2013 대입]재수생 급감… 2013년 대입 정시가 기회 될까? | 2012-04-03 | 26800 |
162 | [신나는 공부/2013 대입수시포커스]<1>고려대 ‘OKU 미래인재전형’ 신설, 연세대 ‘창의인재전형’ 확대 | 2012-04-03 | 9189 |
161 | [신나는 공부/2013 대입수시포커스]<2>성균관대 ‘성균인재전형’,한양대 ‘미래인재전형’ | 2012-04-03 | 11558 |
160 | "고3 첫 전국연합평가, 작년 수능보다 다소 어려웠다" | 2012-04-03 | 7888 |
159 | 강남구청 인터넷 수능방송, 무료 해설 강의 | 2012-04-03 | 7960 |
158 | 인문-국·영, 자연-수·영…상위권대 일괄채택 따라 학습부담 경감 취지 무색 | 2012-04-03 | 9719 |
157 | ‘쉬운 수능’은 하위권용?… 주요大 모두 어려운 B형 위주로 | 2012-04-03 | 8296 |
156 | 성적 쑥 올리고 싶다면 동기부여·학습계획부터 | 2012-03-06 | 8063 |
155 | 서울대, 인문·사회·사범대 70% 과별로 뽑는다 | 2012-02-20 | 8329 |
154 | 학부모가 반드시 알아야 할 입학사정관제 전형과 NEAT 설명회 개최 | 2012-02-15 | 10007 |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87 | 올해 중1, 내신 상대평가서 절대평가로 바뀌는데 | 2012-01-20 | 8433 |
86 | [입학사정관의 리얼 토크] 꿈·가능성으로 무장한 자신 보여주세요 | 2012-01-12 | 7723 |
85 | 올해 중1, 내신 상대평가서 절대평가로 바뀌는데 | 2012-01-11 | 7834 |
84 | 게임중독 아들 명문대 보낸 김민경씨 교육법 | 2012-01-09 | 12254 |
83 | [조정주의 세계 속 교육] 핀란드 교육을 제대로 보자 | 2012-01-05 | 7026 |
82 | 2012 미국 대학 입시 살펴보니… 예년보다 명문대 합격생 감소… 갈수록 경쟁 치열 | 2012-01-04 | 7407 |
81 | <6>중앙대 다빈치형인재전형 합격한 김윤희 양 | 2012-01-03 | 7371 |
80 | 서울대 수시 최연소 합격 과학영재, 연대 치대 갔다 | 2012-01-02 | 7049 |
79 | 정시 모집, 철저한 전략으로 승부 | 2011-12-29 | 6307 |
78 | 꼴찌에서 전교 1등으로, 자기주도 학습 실천한 역전의 공신 인천 부흥고 2학년 심재웅 군 | 2011-12-28 | 6273 |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39 | 자기주도학습의 ‘맞춤형 강의 커리큘럼’을 바라보다 | 2012-01-06 | 7811 |
38 | 유아부터 성인까지 … 자기주도학습 열풍 | 2012-01-06 | 7092 |
37 | [자치구 겨울방학 도우미 3제] 자기주도학습 교습부터 진로상담까지 | 2012-01-06 | 6994 |
36 | "수학 자기주도 학습 어떻게 하나" | 2012-01-05 | 6543 |
35 | [단신]송하성 경기대 교수, 자기주도적 학습법 특강 | 2012-01-05 | 7057 |
34 | `자기주도 학습은 이런 것' 지침서 보급 | 2012-01-04 | 9312 |
33 | 체득형 태권도 ‘인성교육’ 탄생… ‘자기주도형’ 학습기법 | 2012-01-03 | 6747 |
32 | 초등학생 독서이력철 관리 어떻게? | 2012-01-03 | 7148 |
31 | 민병희 교육감 신년 인터뷰 | 2012-01-03 | 6131 |
30 | 김용진 전뇌학습]자기주도학습, 이것이 정답이다 | 2012-01-03 | 6237 |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17 | 당신은 자녀에게 '공부' 얘기만 하고 있진 않습니까 | 2011-11-28 | 8820 |
16 | 자연체험 활동 유아 발달에 큰 도움 | 2011-10-27 | 6982 |
15 | 강남구, 안보현장 체험교육 열풍 | 2011-10-27 | 7133 |
14 | 전국 시각장애인 독후감 공모 | 2011-10-20 | 7193 |
13 | 도서관이 달라졌어요 | 2011-10-19 | 8007 |
12 | 2011년 진해구 환경일기쓰기 | 2011-10-19 | 9074 |
11 | e-포트폴리오 대학 전반에 확산 | 2011-10-18 | 6569 |
10 | 대우조선해양 첫 고졸 관리직 100명 공채 | 2011-10-14 | 6721 |
9 | 선덕 고등학교 입학 설명회(오늘) | 2011-10-13 | 8904 |
8 | 전남대학교 e-포트폴리오 시스템 구축 | 2011-10-12 | 7089 |